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9

TCP vs UDP 목차1. TCP2. UDP3. 뭐가 더 좋을까?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데이터의 순서를 설정하여 순서대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응답에 따라 통신하는 방식데이터의 신뢰성이 보장됨TCP는 데이터 통신시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연결 요청을 한 후 연결이 이루어지면 통신을 하게 된다. 데이터의 신뢰성을 위해 발진자는 데이터의 순서를 결정하여 전송을 하게 된다. 수신자가 데이터를 받고 확인 응답을 했을 때 다음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이 끝나면 서로 확인하고 연결을 종료한다. 이 과정은 통신이 끝날 때까지 연결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연결 지향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만일 데이터를 전송하였지만 수신자에게 응답이 오지 않으면 일정시간을 기다렸다가 이전 데이터를 다시 전송한다.. 2024. 5. 26.
프로토콜 목차1. 프로토콜은 뭘까?2. 프로토콜의 종류 1. 프로토콜은 뭘까?컴퓨터 또는 전자지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규약각 전자기기가 모두 같은 동일한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모두 다 방식이 다르다. 그래서 데이터를 주고 받아도 처리 교환방식이 달라 무슨 데이터를 주고 받는지 모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것이 프로토콜이 규약이다.2. 프로토콜의 종류프로토콜은 어려운 내용이고 개발자나 IT관련 엔지니어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우리가 이미 사용하고 있는 것부터 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들을 알아보도록 하자.HTTP와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로 하이퍼 링크를 통해 페이지를 로드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2024. 5. 25.
OSI 7계층? 목차1. OSI 7계층이란2. 각 계층별 역할3. 단계를 나눈 이유 1. OSI 7계층이란?네트워크상에서 통신하는 구조를 7단계로 나눈 것 2. 각 계층별 역할 물리계층실제 물리적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전기적 신호 0과 1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ex) 케이블, 허브데이터링크 계층물리적 장치를 식별하고 주소지정체계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할 수단을 제공한다.ex) 스위치, 브리지네트워크 계층데이터를 수신할 IP를 식별하고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여 지정하는 라우팅 과정 거친다. 또한 데이터의 오류를 식별하여 처리하기도 한다. ex) 라우터, L3스위치전송 계층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오류와 흐름제어를 담당한다.ex) TCP, UDP세션 계층통신의 연결과 종료를.. 2024. 5. 24.
nodeJS 목차1. NodeJS란2. 왜 사용하는 걸까? 몇 년 전부터 개발자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기술로 NodeJS라는 것이 있었다. 이것이 뭐길래 그렇게 인기가 있었는지 우리가 왜 배워야 하는지 알아보자1. NodeJS란?JavaScript 코드를 브라우저가 아닌 로컬환경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환경(RunTime)기존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동작은 브라우저 환경 위에서만 가능했다. 브라우저는 자비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한 런타임을 내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html과 같이 적용하였다. 하지만 NodeJS를 통해 브라우저 외부환경에서 실행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주로 서버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NodeJS를 서버 자체로 오해를 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를.. 2024.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