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9

네트워크의 내 주소 IP 목차1. IP?2. 버전3. 종류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한번 쯤은 IP라는 단어를 들어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뭔지 잘 모르고 사용하기도 하는데 IP에 대해 알고 사용해보자. 1. IP란Internet Protocol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통신하기 하기 위해 부여하는 식별 번호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그런데 수 많은 기기가 있는데 누가 누군지 알고 통신을 할 수 있을까? 바로 IP를 통해 기기들을 식별한다. 2. 버전1 ) IPv4전 세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주소체계이며 총 32비트로 8비트씩 4자리로 구분된다. 자리는 각각 A,B,C,D 클래스라고 한다. 8비트이기 때문에 한 자리 당 0~255까지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짐에 따라 IP.. 2024. 6. 2.
HTTP? 목차1. HTTP란?2. 특징 1. HTTP란?Hyper Text Transfer Protocol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요청과 응답을 통해 웹페이지를 로드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HTTP는 네트워크 통신과정을 나타낸 OSI7 계층에서 응용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로 전송 계층의 TCP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보안을 위해 SSL인증서를 발급받아 적용하게 되면 HTTPS로 변경된다. 2. 특징1 ) 무상태성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음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아 매 요청마다 데이터를 추가 해야한다. 2 ) 비연결성서버는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하면 연결을 종료통신을 지속할 때 연결이 유지되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왜 다시 요청을 할 수 있는데 연결을 종료할까? 그 해답은 HT.. 2024. 6. 1.
간단한 TCP서버 구현 해보기 목차1. 모듈 객체생성하기2. 응답 내용작성3. 서버 실행4. 결과 확인 1. 모듈 객체 생성하기서버를 직접 만들기 위해서는 모듈을 사용해야 한다. 이번에 만들어볼 서버는 TCP서버로 net 모듈을 사용하여 서버를 만들 것이다.const net = require("net"); 2. 응답 내용 작성서버가 실행되고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였을 때 자동으로 요청을 하게 된다. 요청에 따라 서버는 응답을 하게 되는데 내용을 지정해주어야 한다.const server = net.createServer((client) => { client.setEncoding("utf-8"); client.on('data', (data) => { const body = `Response Success`;.. 2024. 5. 31.
어디로 접속해야돼?...PORT 목차1. Port란?2. 사용중인 포트 확인하기 1. Port란?TCP/IP 사용시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지정하는 논리적인 접속장소컴퓨터는 정상적인 실행을 위해 여러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내가 필요에 따라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이렇게 실행이 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라고 하며 프로세스들은 각각의 포트를 사용한다. 이는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거나 실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특정한 번호이다. 외부에서 어떤 서버의 프로그램에 접속하려 할 때 포트를 통해 접근을 할 수 있다.  2. 사용중인 포트 확인하기웹 서버를 만들게 되면 접속할 수 있는 포트도 설정을 하게 된다. 주로 사용되는 것들이 있지만 사용자가 지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미 사용되고 있는 포트를 설정하면 포트.. 2024.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