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9

파일 저장하기 목차1. 파일 쓰기 메서드2. 파일 읽기 메서드3. 데이터 전송4. 전송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1. 파일 쓰기 메서드1 ) writeFile비동기적으로 파일을 작성하는 메소드fs.writeFile(파일경로/파일명,데이터,(err)=>{ if(err){ // 파일 쓰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대 처리 }else{ // 파일 쓰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처리 }})비동기방식이기 때문에 파일을 쓰기는 작업이 완료가 되지 않아도 다음 작업이 진행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파일을 쓴 이후 이루어져야 할 작업은 콜백함수 안에 작성해야한다.  2) writeFileSunc동기적으로 파일을 작성하는 메소드fs.writeFileSync(파일경로/파일명,데이터); 2. 파일 읽.. 2024. 6. 6.
서버를 좀 더 간편하게 만드는 방법 express 목차1. express모듈?2. express의 장점3. 설치하기4. 미들웨어5. 라우팅6. 서버 실행하기 1. express모듈?nodejs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서버 로직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듈기존에는 웹 서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http이나 net 모듈을 사용하였다면 express는 여러 기능들을 지원하여 좀 더 편하게 서버를 만들 수 있게 해준다. 2. express의 장점 3. 설치 및 모듈 사용express는 nodejs의 내장 모듈이 아니기 때문에 설치를 해야한다. npm install express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package.json의 의존성 부분에서 버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package.json"dependencies": { "express": "^4.19.2" }설치가.. 2024. 6. 5.
Buffer 목차1. Buffer란?2. Buffer를 사용하는 방법 1. Buffer란?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입출력 작업 중 발생하는 처리속도와의 차이를 개선하는 방법인터넷에서 영상을 볼 때 잘 나오다가 갑자기 끊기는 버퍼링이라는 현상을 겪어보았을 것이다. 왜 그러는 것일까? 내가 사용하는 기기에 해당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인터넷에서 입력받아 출력을 한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그 데이터를 받는 속도가 느리다면 기기에서 데이터를 다 처리하고 이후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지만 처리할 만큼의 데이터가 없어 일정한 데이터를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버퍼는 파일 입출력, 스트림 작업 등 특정 작업을 하게 되면 RAM의 공간 일부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사용하게 된다. 2. Buffer를 사용하는 방법버퍼는 자동으로.. 2024. 6. 4.
JS로 소프트웨어 부품 만들기...모듈 목차1. NodeJS의 모듈2. 라이브러리와 차이3. 모듈 사용하기 1. NodeJS의 모듈자바 스크립트를 브라우저가 아닌 환경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실행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것이 nodejs이고 node에서 각각의 js 파일은 모듈로서 동작한다. 그렇다면 모듈은 뭘까?독립적인 기능을 하는 함수, 변수, 클래스 등의 모음위의 내용을 보면 유사한 의미를 가진 "라이브러리"라는 단어가 생각난다. 이 둘의 차이는 나중에 알아보도록 하자.1 )  특징독립적인 스코프 기존 브라우저에서는 전역에서 같은 이름의 변수를 const, let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했다면 에러가 발생한다. 하지만 각각의 모듈은 최상위 스코프에서 선언하더라도 스코프가 달라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모듈 캐싱이전에 한 번 불러온 모듈은 다.. 2024.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