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OSI 7계층?

by 개발자doc 2024. 5. 24.
목차
1. OSI 7계층이란
2. 각 계층별 역할
3. 단계를 나눈 이유

 

1. OSI 7계층이란?
  • 네트워크상에서 통신하는 구조를 7단계로 나눈 것

 

2. 각 계층별 역할 
물리계층 실제 물리적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전기적 신호 0과 1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ex) 케이블, 허브
데이터링크 계층 물리적 장치를 식별하고 주소지정체계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할 수단을 제공한다.
ex) 스위치, 브리지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를 수신할 IP를 식별하고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여 지정하는 라우팅 과정 거친다. 또한 데이터의 오류를 식별하여 처리하기도 한다. 
ex) 라우터, L3스위치
전송 계층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오류와 흐름제어를 담당한다.
ex) TCP, UDP
세션 계층 통신의 연결과 종료를 관리하고 통신방식(ex- 전이중, 반이중)을 지정한다.
표현 계층 응용계층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읽을 수 있게 변환하는 인코딩, 디코딩하고 보안을 위한 암복호화도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응용계층 실제로 사용자가 네트워크 자원에 접근할 수 자원을 방법을 제공한다. 
ex) HTTP, SMTP

 

3. 단계를 나눈 이유

굳이 통신의 단계를 나눈 이유가 무엇일까?

통신의 과정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관리하기 쉽다. 또한 문제가 생긴 단계를 확인하여 해당 단계만 조히한다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의 내 주소 IP  (0) 2024.06.02
HTTP?  (0) 2024.06.01
어디로 접속해야돼?...PORT  (0) 2024.05.30
TCP vs UDP  (0) 2024.05.26
프로토콜  (0)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