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30 원시타입이 메서드를 사용해? 박싱과 언박싱 1. 원시타입의 객체화2. 박싱과 언박싱3. 사용하는 이유1. 원시타입의 객체화js에서 다루는 데이터 타입 중 원시타입이라고 불리는 타입이 있다 . 그런데 원시타입의 데이터 중에 문자열, 숫자, 불리언 타입은 특별한 것이 있다. 바로 객체가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처럼 메서드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원시타입이 아니라 객체인가? 라는 혼란이 생길 수도 있다. 원시타입의 일부는 객체가 아니지만 메서드를 호출하면 특별한 현상이 나타난다. 바로 오토박싱이 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박싱은 무엇일까? 2. 박싱과 언박싱박싱 : 원시 타입의 데이터가 같은 형태의 클래스의 객체로 변환되는 것문자열과 숫자, 불리언 타입이 메서드에 접근할 수 있던건 메서드를 호출하는 순간 자동으로 객체로 변환되기 때.. 2024. 4. 24.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목차1. cookie2. session3. local storage1. cookie 우리가 웹사이트들을 방문하다보면 쿠키 수집에 대한 동의를 얻는 창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일단 먹는 쿠키를 말하는 건 아닌 것 같은데 어떤걸 말하는지 알아보자.브라우저를 통해 일정기간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주로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방문기록등을 추적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저장 방법document.cookie = '키=값'//저장된 쿠키 출력console.log(document.cookie)ex)document.cookie = 'text=example'console.log(document.cookie)/* 결과 text=example*/ 쿠키는 브라우저를 통해 저.. 2024. 4. 23. 클래스 목차 1. 클래스란? 2. 클래스 만들기 3. 함수와 메서드의 차이 4. 클래스를 사용하는 이유 1. 클래스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 템플릿 클래스는 객체지향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각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속성과 메서드가 정의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자동차는 색상, 모델 같은 속성이 있고 이동하기 위한 가속,감속 같은 동작이 있다. 이런 공통적인 부분들을 묶어 여러 대의 자동자를 만들 때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틀로 만들어 놓은 것이 클래스이다. 2. 클래스 만들기 자바 스크립트에서 클래스는 자주 사용된다. 클래스를 만들고 클래스에 대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class 클래스{ constructor(속성1,속성2){ //생성자 메서드로 속성을 초기화하기 위한 메서드 //.. 2024. 4. 22. 콜백함수 목차 1. 콜백함수란? 2. 콜백함수 사용법 3. 콜백함수를 왜 사용하는 걸까? 1. 콜백함수란? 호출되는 함수에 인자값으로 전달되는 함수 함수를 호출할 때 그 함수에 전달하는 값를 "인자값"이라고 하고 인자값을 받는 변수를 "매개변수"라고 한다. 그렇다면 인자값에 해당하는 값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값은 문자열, 숫자 등의 원시타입 또는 객체같은 참조타입의 데이터를 뜻한다. 콜백함수는 인자값으로 전달되는 함수라고 하였는데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function fn1(){ return "함수도 값인가" } console.log(fn1); /* 결과값 function fn1(){ return "함수도 값인가" } */ 값을 출력하는 console.log를 사용하여 함수를 출력해보았다. 그랬더니 함수의 내.. 2024. 4. 21.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