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deJS16

Buffer 목차1. Buffer란?2. Buffer를 사용하는 방법 1. Buffer란?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입출력 작업 중 발생하는 처리속도와의 차이를 개선하는 방법인터넷에서 영상을 볼 때 잘 나오다가 갑자기 끊기는 버퍼링이라는 현상을 겪어보았을 것이다. 왜 그러는 것일까? 내가 사용하는 기기에 해당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인터넷에서 입력받아 출력을 한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그 데이터를 받는 속도가 느리다면 기기에서 데이터를 다 처리하고 이후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지만 처리할 만큼의 데이터가 없어 일정한 데이터를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버퍼는 파일 입출력, 스트림 작업 등 특정 작업을 하게 되면 RAM의 공간 일부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사용하게 된다. 2. Buffer를 사용하는 방법버퍼는 자동으로.. 2024. 6. 4.
JS로 소프트웨어 부품 만들기...모듈 목차1. NodeJS의 모듈2. 라이브러리와 차이3. 모듈 사용하기 1. NodeJS의 모듈자바 스크립트를 브라우저가 아닌 환경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실행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것이 nodejs이고 node에서 각각의 js 파일은 모듈로서 동작한다. 그렇다면 모듈은 뭘까?독립적인 기능을 하는 함수, 변수, 클래스 등의 모음위의 내용을 보면 유사한 의미를 가진 "라이브러리"라는 단어가 생각난다. 이 둘의 차이는 나중에 알아보도록 하자.1 )  특징독립적인 스코프 기존 브라우저에서는 전역에서 같은 이름의 변수를 const, let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했다면 에러가 발생한다. 하지만 각각의 모듈은 최상위 스코프에서 선언하더라도 스코프가 달라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모듈 캐싱이전에 한 번 불러온 모듈은 다.. 2024. 6. 3.
간단한 TCP서버 구현 해보기 목차1. 모듈 객체생성하기2. 응답 내용작성3. 서버 실행4. 결과 확인 1. 모듈 객체 생성하기서버를 직접 만들기 위해서는 모듈을 사용해야 한다. 이번에 만들어볼 서버는 TCP서버로 net 모듈을 사용하여 서버를 만들 것이다.const net = require("net"); 2. 응답 내용 작성서버가 실행되고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였을 때 자동으로 요청을 하게 된다. 요청에 따라 서버는 응답을 하게 되는데 내용을 지정해주어야 한다.const server = net.createServer((client) => { client.setEncoding("utf-8"); client.on('data', (data) => { const body = `Response Success`;.. 2024. 5. 31.
nodeJS 목차1. NodeJS란2. 왜 사용하는 걸까? 몇 년 전부터 개발자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기술로 NodeJS라는 것이 있었다. 이것이 뭐길래 그렇게 인기가 있었는지 우리가 왜 배워야 하는지 알아보자1. NodeJS란?JavaScript 코드를 브라우저가 아닌 로컬환경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환경(RunTime)기존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동작은 브라우저 환경 위에서만 가능했다. 브라우저는 자비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한 런타임을 내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html과 같이 적용하였다. 하지만 NodeJS를 통해 브라우저 외부환경에서 실행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주로 서버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NodeJS를 서버 자체로 오해를 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를.. 2024.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