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9

kakao 로그인 목차1. 애플리케이션 추가2. 제공 정보 설정하기3. 요청의 필요정보 확인하기4. 코드 작성하기5. 정보확인1. 애플리케이션 추가여러 사이트에서 카카오 oauth를 통해 인증을 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oauth를 사용하는 것은 과연 복잡한 절차가 있어야만 가능한 것일까? 카카오 oauth를 직접 사용하는 과정을 알아보고 데이터가 잘 표시되는지 확인해보자.일단 카카오 oaut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카카오 개발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해야한다. 링크가 있으니 접속하여 추가해보도록 하자.https://developers.kakao.com Kakao Developers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2024. 7. 14.
oauth 목차1. OAUTH란2. 만들어진 이유3. oauth 동작 과정4. 버전1. OAUTH란?인증을 위임하는 표준 프로토콜 웹 사이트를 이용하다보면 로그인 인증을 해야만 이용가능한 서비스가 있다. 그럴 때 간편하게 소셜 서비스를 통해 간편하게 가입하고 로그인이 가능한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우리는 어느 순간 만들어진 간편한 인증 시스템을 잘 이용하고 있는데 개발자로써 왜 만들어졌는지 알아보고 직접 인증을 구현해보도록 하자. 2. 만들어진 이유1) 보안 문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 특정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증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내가 이용하려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면 어떨까? 가입할 때 입력한 개인정보가 해당 서버에 있기 때문에 심각한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2024. 7. 13.
인터셉터 목차1. 인터셉터란?2. 어떤 용도로 쓰일까?3. 사용하는 방법1. 인터셉터란?요청과 응답 사이에 추가적인 로직을 삽입할 수 있는 기능으로 컨트롤러의 메서드가 호출되기 전 후 작업을 수행 2. 어떤 용도로 쓰일까? 요청 전 처리컨트롤러 메서드가 호출되기 전에 특정 작업을 할 수 있다.요청에 필요한 데이터 추가, 요청의 데이터 검증 등응답 후 처리컨트롤러 메서드가 실행된 후 응답을 수정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응답 헤더 추가, 암호화 등로깅요청 및 응답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캐싱응답 데이터를 캐싱하여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3. 사용하는 방법nestJS에서 인터셉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NestInterceptor라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야 한다.import { CallHandler, Executi.. 2024. 7. 12.
가드 목차1. 가드란?2. 왜 서비스로직에서 하지 않을까?3. 사용법1. 가드란?▶ 인터셉터나 파이프 전에 권한 인증을 진행하기 위한 클래스 2. 목적이 뭘까?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많은 개발자가 MVC패턴을 사용하여 로직을 나눈다. 그 중 데이터 검증에 관한 작업을 하는 곳은 Service인데 왜 굳이 가드를 나누어 실행을 할까? 그 이유를 알아보자.  1. 관심사를 분리▶ 인증과 권한 부여를 처리하는데 특화되어있는 가드를 분리하여 서비스 빈은 비즈니스로직에 집중할 수 있다.  2. 재사용성▶ 인증 로직은 하나의 서비스 로직이 아닌 다른 로직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하여 사용하면 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 있다. 3. 요청 전 처리▶ 요청이 컨트롤러에 도달하기 전 실행되기에 불필요하게 리소스가 사.. 2024.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