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의 내 주소 IP
목차
1. IP?
2. 버전
3. 종류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한번 쯤은 IP라는 단어를 들어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뭔지 잘 모르고 사용하기도 하는데 IP에 대해 알고 사용해보자.
1. IP란
- Internet Protocol
-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통신하기 하기 위해 부여하는 식별 번호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그런데 수 많은 기기가 있는데 누가 누군지 알고 통신을 할 수 있을까? 바로 IP를 통해 기기들을 식별한다.
2. 버전
1 ) IPv4
전 세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주소체계이며 총 32비트로 8비트씩 4자리로 구분된다. 자리는 각각 A,B,C,D 클래스라고 한다.
8비트이기 때문에 한 자리 당 0~255까지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짐에 따라 IP가 부족하게 되었고 고갈 위기에 처해있다.
2 ) IPv6
기존 IPv4를 확장한 주소체계로 16비트로 나누어지며 각 16비트의 블록은 4자리 16진수로 변환되어 콜론(:)으로 구분된다. 네트워크 주소 부분인 64비트 내에서 RIR(Regional Internet Registry)간 협의에 기초하여 정책적 경계를 나누었으며, 앞 48비트는 상위 네트워크 주소로 뒤 16비트는 하위 네트워크 주소로 활용한다.
다만 기존 장비들과 호환성으로 인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아직 사용률이 적다.
3. 고정 VS 유동
1 ) 고정 IP
기기에 고정적으로 부여되는 IP로 해당 IP를 반환하지 않고는 다른 기기에 부여할 수 없다. 주로 업체나 기관에서 관리한다.
2 ) 유동 IP
변경되는 IP로 주로 많은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방식이다. IP를 고정적으로 부여해줄 경우 고갈이 될 수 있어 사용자가 접속할 때마다 또는 특정 주기에 따라 사용자에게 임시적으로 IP를 부여한다. 그래서 하나의 기기라도 언제 어디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IP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공인 VS 사설
1 ) 공인 IP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로 KT,SKT같은 통신업체)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부여받은 IP이다.
2 ) 사설 IP
한 네트워크 안에서 사용이 가능한 IP주소이다. 사설 IP는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자료참고
https://study-recording.tistory.com/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