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치하기
2. MYSQL 시작
3. 설정하기
4. mysql 접속하기
1. 설치하기
맥에서는 homebrew를 통해 mysql을 설치할 수 있고
brew intall mysql
윈도우에서는 아래 주소를 통해 mysql 설치파일을 받아 설치를 진행할 수 있다.
https://www.mysql.com/downloads/
MySQL :: MySQL Downloads
www.mysql.com
2. MYSQL 시작
설치를 했다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DBMS를 실행을 해주어야 하는데 터미널 혹은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 명령을 통해 실행이 가능하다.
brew services start mysql
or
mysql.server start
3. 설정하기
처음 실행을 했을 때 DBMS에 접속할 수 있는 별도의 계정이 없기 때문에 root로 접속을 해야하는데 비밀번호나 접속에 관한 초기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mysql_secure_installation
아래부터는 초기설정에 관한 내용
press y|Y for Yes, any other key for No:
# 비밀번호 복잡성 유무 체크
new password
# 새로운 비밀번호 입력
Remove anonymous users?
# 익명 사용자에 대한 설정
# yes 설정시 u옵션을 통해 유저를 반드시 명시
Disallow root login remotely?
# 다른 ip에서 root아이디로 원격접속을 허용하는지
# yes는 원격 불가
Remove test database and access to it?
#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샘플 데이터베이스를 제거할 것인지
# yes일 경우 test데이터베이스 제거
Reload privilege tables now?
# 변경된 권한을 테이블에 부여
# yes일 경우 적용
all done
# 적용완료
4. mysql 접속하기
설정이 끝났다면 실제로 접속하여
mysql -u 유저명 –p
# ex)
mysql -u root –p
5. 쿼리 실행하기
# 데이터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Test
# 생성한 데이터 베이스사용
use Test
# 데이터 베이스에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user(
id varchar(10),
name varchar(10)
)
# 테이블에 데이터 추가
insert into user
values('0','홍길동');
# 데이터 조회
select *
from user
위와 같은 순서를 통해 데이터 구조를 정의, 추가 후 조회를 하면 쿼리에 의해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d | name |
0 | 홍길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