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it 설치하기
2. git 초기화
3. User 정보설정
4. stage로 추적하기
5. 수정된 파일 저장하기
개인 프로젝트를 제외하고 회사나 팀 단위로 작업을 하게 되면 혼자 모든 프로그래밍을 하지 않는다. 여러 작업자가 모여 협업을 하게 되고 각자의 작업 결과물을 합쳐 하나의 패키지를 만들어 배포를 하게 된다. 협업을 위해 git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1. git 설치하기
git도 결국 프로그램으로 설치를 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git을 설치하는 것부터 시작하자.
git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야 한다.
git 홈페이지 : https://git-scm.com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는데 설치를 위해 박스로 표시된 downloads라는 것을 클릭한다.
다운로드페이지로 이동을 하면 운영체제별로 설치 가이드가 나누어져 있어 사용하는 운영체제에 맞는 가이드를 확인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2. git 초기화
git을 처음 사용할 때 작업을 진행할 디렉터리를 만들고 이동하여 초기화를 해주어야 한다. 만약 바탕화면 같이 작업할 경로가 아닌 곳에 초기화를 하게 되면 전혀 상관없는 파일들도 작업 파일로 인식하는 대참사가 벌어질 수 있다. vs코드를 실행하여 작업할 디렉터리를 열면 자동으로 경로가 설정된다. 해당 경로에서 터미널을 사용하여 git 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 작업 디렉터리 생성
mkdir 디렉터리가 위치할 경로/디렉터리명
# 작업 디렉터리 이동
cd 디렉터리가 위치할 경로/디렉터리명
작업을 진행할 디렉터리로 이동을 했다면 git을 초기화를 진행한다.
git init
초기화를 진행했다면 터미널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출력된다.
그리고 숨겨진 폴더가 생성이 되는데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현재 디렉터리 내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 확인
ls -a
#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력된다.
# . .. .git
3. User 정보 설정
.git 디렉터리가 생성되었다면 유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설정파일은 .git/config이며 유저 정보나 원격저장소등의 내용이 이 파일에 적용된다. 초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필요한 유저의 내용은 name과 email이 있는데 명령어를 통해 설정이 가능하다.
# 해당 작업에만 적용하기
# 이름 설정
git config user.name "유저이름"
# 이메일 설정
git config user.email "email@email.com"
######################################
# 모든 디렉터리에서 한 번만 적용하기
# 이름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이름"
# 이메일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email@email.com"
해당 명령 후 config파일을 확인해보면 추가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유저 정보를 설정하지 않으면 git을 사용하지 못하는 걸까?
당연히 아니다. 다만 유저의 작업내용을 추적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commit을 진행할 때 다음과 같은 알림이 발생하고 자동으로 설정이 된다.
이렇게 자동으로 설정된 정보는 추후 원격 저장소에서 확인할 때 누가 작업을 했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4. stage로 추적하기
지금까지는 설정을 했던 부분이기 때문에 관리할 파일이 없다. 그래서 관리를 할 파일을 생성해준다.
파일을 생성하면 작업 디렉터리에 변경은 있지만 추적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오른쪽에 U(Untracked)가 표시된다. 해당 작업을 추적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저장소에 추가한다.
# 변경사항 전체 추가
git add .
# 특정 변경파일 추가
git add 파일이름
저장소에 추가가 되어 추적 가능 파일이라는 의미로 A(Added)표시로 변경된다. 정확한 상태는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git status
5. 수정된 파일 저장하기
저장소에 추가된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commit이라고 하는데 변경된 사항들을 유지하려면 commit을 해주어야 한다.
git commit -m "메시지 내용"
명령을 통해 파일의 변경사항이 저장되었으며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log를 확인해야한다.
# 저장된 내용 확인
git log
commit 다음 내용에 긴 문자열은 SHA 암호화를 통해 생성된 해시값으로 각 commit를 구분하는 ID같은 역할을 한다.
'형상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을 하는 공간 branch (0) | 2024.05.21 |
---|---|
Git 명령어 (0) | 2024.05.16 |
Git사용하기 - 3(로컬저장소<->원격저장소) (0) | 2024.05.15 |
Git사용하기 - 2(branch로 작업나누고 합치기) (0) | 2024.05.14 |
Git이 뭘까? (0) | 2024.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