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S

배열

by 개발자doc 2024. 4. 20.
목차
1. 배열이란?
2. 사용하는 방법?
3. 배열을 사용하는 이유?
1. 배열이란?
  •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방법

리스트형 변수라고도 하며 각각의 요소마다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인덱스를 통해 각각의 요소에 접근할 수 있고 반복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사용하는 방법?

1) 선언하기

//선언방법 1 => 리터럴로 배열생성
let 배열이름 = [];
let 배열이름 = [item2,item2]

//선언방법 2 => Array의 객체 생성
let 배열이름 = new Array();
let 배열이름 = new Array(배열크기);

리터럴을 사용하면 빈 배열을 만들어 나중에 값을 추가하거나 처음 만들 때 배열에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다. 동적으로 값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Array객체로 고정된 사이즈의 빈 배열을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2) 값을 삽입하기

//방법 1
let 배열 = [];

for(let i=0; i<5;i++){
    배열.push(i+1);
}

//방법 2
let 배열 = new Array(5);
for(let i=0;i i<arr.length; i++){
    배열[i] = i+1;
}

배열 요소를 추가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n]을 통해 인덱스에 접근하여 값을 할당할 수 있고 push를 통해 배열 맨 마지막에 요소를 추가 할 수도 있다.

3. 배열은 왜 사용할까?

일반 변수가 있는데 왜 복잡하게 배열을 사용하는 것일까? 비슷한 데이터가 많을 시 일반 변수를 사용하면 많은 양의 변수를 사용하며 코드의 수가 늘어나게 된다. 코드로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let score1 = 90;
let score2 = 50;
let score3 = 70;
let score4 = 60;
let score5 = 80;

let total = score1 + score2 + score3 + score4 + score5;
let avg = total/5;
console.log("5개의 점수의 평균은 "+avg);

//결과값
//5개의 점수의 평균은 70

위 코드는 배열을 사용하지 않고 5개의 점수에 대한 평균을 작성하는 코드이다. 각각 점수에 대한 변수를 만들고 일일이 사용하여 합 값을 만들어 평균을 내어 콘솔로 출력하였다. 간단한 코드지만 코드가 길다. 같은 결과를 출력하지만 배열을 사용한 코드를 보자

let arr = [90, 50, 70, 60, 80];
let total;
for(let i=0;i<arr.length;i++){
    total+=arr[i];
}
let avg = total/arr.length;
console.log("5개 점수의 평균은 "+ avg);

배열과 반복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길이에 맞게 동적으로 접근하여 합을 구할 수 있다. 결과는 같지만 코드의 길이도 짧고 동적으로 만들 수 있다.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스  (0) 2024.04.22
콜백함수  (0) 2024.04.21
함수  (1) 2024.04.19
반복문  (2) 2024.04.18
Js의 조건문  (0) 2024.04.17